컨텐츠 정보
- 775 조회
- 목록
본문

송지효가 본업으로 돌아왔다. '만남의 집'을 통해 딜레마와 매너리즘을 깨고, 5년 만에 스크린에 복귀한 그는 작품을 통해 연기의 본질과 자신을 다시 마주했다. 오는 15일 개봉하는 '만남의 집'(감독 차정윤)은 15년 차 FM 교도관 태저(송지효)의 인생 첫 오지랖이 만든 햇살 같은 인연을 그린 휴먼 드라마 영화다. 단편 '나가요: ながよ'로 제18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차정윤 감독의 장편 데뷔작이기도 하다. 송지효는 극 중 교도관 태저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송지효의 5년 만의 스크린 복귀작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는 "시간을 그렇게 따지는 편은 아니다. 잠깐씩이라도 촬영을 해와서, 5년이나 흐른줄은 몰랐다. '침입자'가 마지막이었는데, 그 사이 극장 환경이 많이 변해 놀랐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5년 만의 복귀작인 만큼, 설렘과 불안이 동시에 교차했다. 송지효는 "저희는 즐겁게 참여했고, 수없는 다듬음의 과정을 거쳐 달려왔다. 그러나 관객들은 저희같지 않을 수도 있다. 비슷한 마음으로 봐주셨으면 하지만, 오히려 걱정이 앞서는 것 같다"라고 밝혔다. '만남의 집' 합류 과정도 언급했다. 그는 "제가 시나리오를 받을 시점에 촬영장 루틴과 패턴에 딜레마와 매너리즘이 있었던 것 같다"라며 "환경보다 태저라는 캐릭터가 저와 닮았다고 느껴 공감했다. 감정을 담아보고 싶었다"라고 말했다. 차정윤 감독의 장편 데뷔작인 것에 대해선 "자신의 생각이 뚜렷한 사람과 작업했다는 게 인상깊었다. 배울점이 많은 시간이었다"라고 덧붙였다. 송지효가 맡은 태저는 핏기가 없고 초췌한 교도관이다. 이에 송지효는 "감독님도 안 꾸몄으면 한다고 하셨다. 저도 예쁘게 나오기보단 초췌했으면 했다. 그러니 캐릭터가 살아서 좋았던 것 같다"라며 "태저는 감정소모를 마다하지 않는 친구였다. 교도소 분위기와 삶에서 오는 애로사항에 있어 자신을 억누르고 절제하고 냉철해진 것 같다. 그 부분이 저와 닮아 공감됐던 것 같다. 후회로 눌려 있던 마음이 공감으로 이어졌던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교도관이란 역할이 흔한 역할은 아니다. 송지효는 "실제 교도소 얘기를 많이 들었다. 교도소가 접하기 힘들기도 하고, 접해서도 안되는 곳이지 않냐. 이분들의 애로사항과 삶을 보고 들으면서 느낀 점도 많았다"라며 "촬영 전, 수용자들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어 더욱 분위기에 스며들 수 있었다"라며 교도관 역할을 소화한 속내를 전했다. '태저'라는 이름도 흔치않다. 송지효는 "중성적이란 느낌이 들었다. 글만 보면 남자 교도관의 이야기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 감독님이 이름을 수집하는 취미가 있는데, 이번 역할엔 태저가 잘 맞다고 쓰셨다더라"라고 비하인드를 언급했다. 극 중 준영 역을 맡은 도영서와의 호흡도 빼놓을 수 없었다. 송지효는 도영서에 대해 "똑 부러지고 책임감 있는 배우다. 어른스러우려고 밝기도 하고, 그 나이대 어린이 같으면서도 직업의식도 있다. 역시 자기가 하고 싶은걸 해야한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준영에게 동지애를 느꼈던 것 같다. …
-
등록일 12:36
-
등록일 12:36
관련자료
-
링크